필터는 우리의 삶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입고 있는 의복, 마시는 물, 맑은 공기 그리고 산업 전반에 걸쳐 필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필터, 정화소재의
핵심적인 기능과 역할
환경 보호
공기, 물 등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는 환경을 보호하고 지구를 깨끗하게
만듭니다.질병 예방
유해 물질을 걸러 호흡기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하여
우리의 건강과 보건 안전을 증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외에 필터는 기계 장비를 보호하고 생활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쾌적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섬유과학을 연구하는 의류학과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정화필터에 접근하고 있을까요?
첫번째, 우리의 삶 속에서 가장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마스크 필터에 대해 연구를 합니다.
의류학과에서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마스크의 세균을 없애기 위해 일상 속 여섯 가지 관리 조건 상황에 대입하여
필터의 살균효과나 필터 성능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마스크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때를 가정하여 마스크를 보관하는 온 · 습도 조건을 달리하여
필터의 성능을 비교, 분석 하였습니다.
두번째,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촉매형 자가 세정 소재’를 연구하여
대기 오염 뿐만 아니라 오염된 폐수의 정화 또한 가장 큰 환경 문제 중 하나이죠.
전 세계적으로 염료폐수 생산량은 연간 7천만 톤에 이르며, 이에 대한 정화가 시급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촉매형 자가 세정’ 기능을 하는
‘부유형 광촉매 직물’을 개발하였습니다.
수중 필터의 한 종류로 스스로 세정의 기능을 하는 ‘부유형 광촉매 직물’은 실에 광촉매 가공을 하고 직물 자체의
밀도를 조절하여 제직한 플로팅 광촉매 원단입니다.
테스트 진행하였으며 이 결과 처리된 광촉매는 햇빛 흡수를 극대화
했을 뿐만 아니라 수용액 중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촉매형 소재는 일회용이 아니라 소재의 물성이 유지되는
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유형 광촉매 자가세정 직물’은 복잡한 조작 없이 부유 정화
시스템으로 환경에 실제 적용 가능성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