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추적기술을 도입해 영아 공간관계 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블록을 다른 블록 위에 쌓을 때, 영아가 ‘위’라는 공간 관계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은
어떤 주의 과정과 관련이 있을까요?
영아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공간 관계 개념을 형성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영아의 머릿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선추적기술을 활용하여 영아의 공간 관계
인지 과정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영아의 시각에 대한 이해를 높여 생애 초기 학습 능력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시선 측정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절차를 진행합니다.
영아와 보호자는 외부 소음이 차단된 방에 들어가 시선 측정을 위한 실험에 참여합니다.
먼저, 화면의 여러 위치에서 시선이 정확히 측정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인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화면에 표시된 9개의 위치가 영아의 시선을 유도하게 됩니다.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측정된 시선을 바탕으로, 이후 사람이 손으로 물체를 잡아 옮기는 영상을 보는 동안 영아의 시선을 파악합니다.




연구자극 영상으로 ‘위’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영아는 새로운 것을 더 오래 응시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영아가 ‘위’에서 ‘안’으로의 공간 관계 변화를 인지한다면, 그 변화에 따라 영아의 화면 응시 시간이 갑자기 증가할 것입니다. 이러한 응시시간 변화는 영아가 공간 관계를 인식했음을 추론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극 영상에 대한 영아의 응시시간을 측정해, ‘위‘ 관계를 성공적으로 인식한 영아와 그렇지 않은 영아를 구분합니다.
관심 영역을 설정해 필요한 데이터를 얻습니다.
저희는 ‘위’ 관계를 인식한 영아들과 그렇지 않은 영아들의 시선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고자 했습니다.
그렇다면 영아들의 시선 집중도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시선추적 소프트웨어인 Tobii Pro Lab을 사용하여 분석이 필요한 영상을 가져온 후,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 AOI)을
설정하면 됩니다. 그 후, 영아가 해당 영역을 얼마나 오래 응시했는지에 대해 원하는 시간대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옮겨지는 물체, 고정되어 있는 물체, 두 물체의 접촉면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해
해당 영역의 시선고정 횟수와 길이를 비교했습니다.
시선 패턴에는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위’ 관계 인식에 성공한 영아들은 그렇지 못한 영아들에 비해 움직이는 물체, 즉 손으로 옮겨지는 블록에 시선을 고정하는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따라서, 영아가 공간 관계 개념을 형성해가는 과정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관계를 성공적으로 인식한 영아
‘위’ 관계를 성공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영아
psychology/articles/10.3389/fpsyg.2023.1261201/full
이로써, 영아들의 세계에
한 발짝 다가가게 되었습니다.
시선추적 연구를 통해 영아들의 시선과 시각을 깊이 이해함으로써, 아동과 성인의 시각적 처리 방식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와 교사가 영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기대와 교수법을 설계하고, 보다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도모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영아가 새로운 개념을 배우는 것이 주의 할당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주의를 유도하거나 촉진하는 방법을 통해 영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